날 때부터의 친구, 평생의 친구 내 사촌과 단 둘이, 나이먹고 나서 처음으로 나선 둘만의 먼 길 나들이였다.
그래봐야 하루치기 당일 여행이었지만.
강화로 목적지를 정한 후, 설레는 마음으로 어디어디를 갈 것인지 미리 검색을 해 왔다는 말에 그 마음이 느껴졌다.
얼마나 바래온 홀가분한 시간인가...
사는게 뭔지 나이 먹어가며 자주 얼굴볼 새도 없이 지낸 우리가
빼꼼이 난 잠시의 시간을 틈타 만나 한나절 나들이를 다녀온 것이다.
확실히, 집에서 떠나야 온전히 나와 너 개인이 된다.
나에게 집중할 수 있고 너의 말에 온전히 귀기울일 수 있게 된다.
집에서는 하다못해 강아지 고양이도 말을 끊으니까. ㅎ
정말 순수하게 관광지로서의 강화를 가 본 건 처음이 아닐까 싶다. 일로 잠시 스쳐갔었던 것 빼고는.
맨 처음 목적지는 월곶돈대와 연미정
![]() |
![]() |
연미정
임진강과 한강이 만나는 지점인 월곶.
서해와 인천으로 흐르는 물길 모양이 제비꼬리와 같다고 하여 정자의 이름을 연미정으로 지었다고 한다.
옛날에는 서해로부터 서울로 가는 배가 이 정자 밑에 닻을 내리고 조류를 기다려 한강으로 들어갔다고 한다.
![]() |
![]() |
![]() |
태풍에 꺾여 쓰러진 나무가 이렇게 누워있었다는 흔적을 이런 식으로 남겨놓았다.
![]() |
![]() |
![]() |
다음 목적지는 옛 조양방직 공장 터를 카페로 개조한 <조양방직카페>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주 건물과 부속건물, 야외 정원과 화장실 건물까지 꽤 큰 면적이다.
옛날 건물의 구조를 그대로 살려두고 내부 용도를 바꾸거나
옛날 물건들을 진열하는 인테리어 방식은 이미 유행한지 오래다.
"세련됨"이나 "최신유행"과는 거리가 먼 낡고 고리타분하고 촌스러운 분위기를 즐기는 "옛날식 유행"
몇십년 전이 엊그제 같은 나이든 사람들은 옛 기억을 떠올리며 추억에 젖게 하고
젊은 친구들은 신기해 한다. 볼거리는 많으니까.
함께 즉석사진을 찍으며 생각했다. 우리가 함께 사진을 찍은 것이 얼마만인가...
멀지 않은 곳의 <소창 박물관>
강화도의 특산물에는 "소창"이 있다. 지금은 보기도 드문.
![]() |
![]() |
고즈넉한 한옥 안의 대청 위에는 다도를 위한 낮은 테이블과 다기세트가 놓여 있다.
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선가, 잔을 덮은 앙증맞은 잔덮개가 눈을 끌었다.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마치 우리집인 양하고 자연스럽게 찍어보자고 했지만...
사진찍는 것을 잘 안해본 나로서는 렌즈를 바라보는 것이 어색하다.
<소창 직조 시연관>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면실에서부터 원단이 되어 나오는 과정을 모형을 통해 단계별로 보여주고 방 한칸에는 실제 직조기가 돌아가고 있다.
원사를 풀어 삶아서 표백을 하고 풀을 입히고 말려서 뭉친 실들을 다시 한 가닥씩 풀어서 감고
그것으로 옷감을 짜서 원단이 되는 과정.
그 긴과정은 정성스러워 보인다.
안쪽으로는 입구와는 아주 대조적인 현대적인 기념품 전시관이 있다.
![]() |
![]() |
모퉁이를 돌아가면 비밀스럽게 자리한 또 한 채의 한옥이 있다.
소창을 이용한 포장을 비롯한 소품들이 전시되어 있는 체험관이 있다.
물들인 소창으로 만든 창 가리개와 방울장식 늘이개.
그냥 가만이 있기만 해도 마음이 평안해지는 느낌이다.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.
내가 관심있고 좋아하고 잘 만들어 보고 싶은 아름다운 포장법.
나온 김에 많은 곳을 보려고 했지만 피곤하기도 하고 시간도 그렇고 배터리도 다 되어가고...
외규장각, 고려궁지, 강화성당을 휙 한번 보고 돌아왔다.
강화가 생각보다 넓고, 볼 곳도 많은 곳이었다. 여러번 가 볼 만한 곳이구나...
강화의 젊은 예술가들과 디자이너들이 '진달래섬'이라는 브랜드로 직접 만든 상품들을 판매하는 매장도 있었다.
강화를 소재로 노래도 만들고 그림도 그리고 물건을 만들기도 하고.
(jindalrae.kr 로 접속하면 홈페이지에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있다.)
지역사회와 젊은이들이 함께 공존하며 발전하려는 시도가 신선해보였다.
요 무늬가 인쇄된 소창 가리개와 손수건을 한 점씩 샀다. 기념으로. 젊은이들이 예뻐서.
강화는 낙조가 유명한데... 석양은 돌아오는 차 안에서.
다음에는 꼭 1박2일 여행에 도전해보자고 다짐하며 헤어졌다.
'동네산책 > 경기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차이나타운 - 20221208 (0) | 2022.12.24 |
---|---|
광명동굴 - 20221105 (0) | 2022.12.23 |
제부도 - 20220816 (0) | 2022.12.14 |
차이나타운 (0) | 2019.07.16 |
지하철 과천역 - 20181029 (0) | 2019.04.09 |
댓글